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BinaryTree
- 그래프
- Stack
- 트리
- datastructure
- 큐
- C언어
- data structure
- MariaDB
- 알고리즘
- bubblesort
- Tomcat
- java
- graph
- 버블정렬
- 리스트
- web
- Recursion
- spring
- algorithm
- 자료구조
- Queue
- aws
- ec2
- 이진탐색트리
- ADT
- C
- BinarySearchTree
- 웹서버
- heap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9)
Min'sLog
● 계정 추가 adduser [계정명] ● 계정 패스워드설정 passwd [계정명] ● 핑 테스트 ping [ip or domain] ● 호스트네임 확인 hostname ● ip 확인 hostname -i ● 폴더 생성 mkdir [폴더명] ex. /opt/apps/ 밑에 test라는 폴더 생성 mkdir /opt/apps/test 만약 /opt/apps/라는 폴더가 없으면 하나씩 만들어줘도 되고 한 번에 모두 만들고 싶다면 -p옵션을 붙이면 상위 디렉터리까지 만들어집니다. mkdir -p /opt/apps/test ● 파일 삭제 rm [파일명] -f 옵션을 붙이면 삭제하겠습니까라고 물어보지 않고 바로 삭제되니 주의 ● 폴더 삭제 rm -r [폴더명] 마찬가지로 -f 옵션을 붙이면 물어보지않고 바로 삭제..

1. Dispatcher-Servlet(디스패처 서블릿)의 개념 [ Dispatcher-Servlet(디스패처 서블릿) 이란? ] 디스패처 서블릿은 HTTP 프로토콜로 들어오는 모든 요청을 가장 먼저 받아 적합한 컨트롤러에 위임해주는 프론트 컨트롤러(Front Controller) 이다. 이것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클라이언트로부터 어떠한 요청이 오면 Tomcat(톰캣)과 같은 서블릿 컨테이너가 요청을 받는다. 그리고 이 모든 요청을 프론트 컨트롤러인 디스패처 서블릿이 가장 먼저 받게 된다. 그러면 디스패처 서블릿은 공통적인 작업을 먼저 처리한 후에 해당 요청을 처리해야 하는 컨트롤러를 찾아서 작업을 위임한다. 여기서 Front Controller(프론트 컨트롤러)라는 용어가 사용되는데, Front ..

MVC 패턴은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Model, View, Controller의 앞 글자를 따서 만든 디자인 패턴이다. Model :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나 정보를 제공한다. View : 사용자의 요청을 화면으로 출력한다. Controller :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요청에 따른 전체적인 흐름을 제어한다. 사용자는 얻고자 하는 정보나 기능을 컨트롤러에게 요청한다.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고 그에 맞는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한다.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면서 컨트롤러는 필요에 따라 모델을 호출하여 데이터를 요청한다. 요청을 모두 처리하면 뷰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화면으로 출력) MVC 패턴은 크게 MV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