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Queue
- heap
- aws
- Recursion
- ADT
- Tomcat
- 버블정렬
- 자료구조
- BinaryTree
- 리스트
- C
- BinarySearchTree
- java
- 트리
- data structure
- 웹서버
- 큐
- graph
- 그래프
- spring
- ec2
- bubblesort
- web
- 알고리즘
- MariaDB
- algorithm
- Stack
- 이진탐색트리
- C언어
- datastructure
- Today
- Total
Min'sLog
(Linux)CentOS 명령어 모음 본문
● 계정 추가
adduser [계정명]
● 계정 패스워드설정
passwd [계정명]
● 핑 테스트
ping [ip or domain]
● 호스트네임 확인
hostname
● ip 확인
hostname -i
● 폴더 생성
mkdir [폴더명]
ex. /opt/apps/ 밑에 test라는 폴더 생성
mkdir /opt/apps/test
만약 /opt/apps/라는 폴더가 없으면
하나씩 만들어줘도 되고
한 번에 모두 만들고 싶다면 -p옵션을 붙이면 상위 디렉터리까지 만들어집니다.
mkdir -p /opt/apps/test
● 파일 삭제
rm [파일명]
-f 옵션을 붙이면 삭제하겠습니까라고 물어보지 않고 바로 삭제되니 주의
● 폴더 삭제
rm -r [폴더명]
마찬가지로 -f 옵션을 붙이면 물어보지않고 바로 삭제되니 주의
● ssh 키 생성
ssh-kegen
● ssh 키 교환
ssh-copy-id -i ~/.ssh/id_rsa.pub [계정명]@[ip or hostname] -p [타겟서버쪽 ssh 포트, 디폴트는 22]
● 파일 찾기
find [찾을위치] -name [찾을파일명]
ex) /opt/apps/ 하위의 test로 시작하는 jar파일 검색
find /opt/apps/ -name test*.jar
- 단어 찾기
grep -r '[찾을 단어]' [찾을 위치]
ex) /opt/apps/ 하위의 test라는 단어 찾기
grep -r 'test' /opt/apps/
● 프로그램 설치
- yum
CentOS 에서의 프로그램 설치 명령어
네트워크 연결상태는 필수
root 권한만 사용 가능
$ yum install 패키지명
패키지를 설치
$ yum reinstall 패키지명
이미 설치된 패키지를 재설치
$ yum update 패키지명
패키지를 업데이트. 패키지명 제외시 전부 업데이트
$ yum check 패키지명
패키지의 문제를 검사
$ yum check-update 패키지명
패키지 업데이트 필요성 여부를 검사. 패키지명 제외시 전부 검사
$ yum remove 패키지명
패키지를 삭제
- wget
다운로드 url이 있을시 사용 가능
$ wget 다운로드URL
입력한 다운로드URL을 다운받는다
● 시스템 제어
- systemctl
패키지,서비스 등의 상태,시작,종료 등의 컨트롤 기능
$ systemctl status 서비스명
서비스의 상태를 확인
$ systemctl start 서비스명
서비스를 시작
$ systemctl restart 서비스명
서비스를 재시작
$ systemctl stop 서비스명
서비스를 중지
$ systemctl enable 서비스명
부팅시에도 서비스를 활성화 함
$ systemctl disable 서비스명
부팅시에도 서비스를 비활성화 함
$ systemctl list-units
사용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보여줌
● 파일 목록 보기
- ls
현재 폴더의 하위 목록 및 지정한경로의 파일목록 조회
$ ls
현재 폴더내의 파일목록 조회
$ ls -a
숨겨진 파일 포함하여 목록 조회
$ ls -l
권한, 파일소유 수, 파일크기, 파일명 등 상세조회
$ ls -S
파일 크기가 큰 순으로 조회
$ ls -R
하위 폴더의 파일까지 포함하여 조회
- ll
ls -l 명령어와 같이 기본적으로 상세하게 보여줌
$ ll
권한, 파일소유 수, 파일크기, 파일명 등 상세조회
● 탐색, 찾기
- grep
표준입력 (stdin)이나 파일에서 특정 문자를 찾는 기능
$ grep hello 파일명
파일 내에서 hello라는 텍스트가 입력된 부분을 찾아서 보여줌
$ grep hello *
현재 디렉토리 하위의 모든 파일에서 hello라는 텍스르를 찾아줌
$ grep hello * -r
현재 디렉토리의 하위 폴더를 전부 포함하여 hello를 찾아줌
$ grep hello * -n
현재 디렉토리 하위의 모튼 파일에서 hello텍스트와 라인번호를 함께 출력
- find
파일명, 사이즈 등등 여러 방법으로 파일을 찾는데 유용한 기능
$ find / -type f
루트 하위의 모든 파일 형식을 출력
$ find / -type d
루트 하위의 모든 디렉토리 형식을 출력
$ find / -type f -size +10M
루트 하위의 모든 파일중 10MB 이상인것만 출력
● 권한 관리
리눅스의 권한 표현 ( rwxrwxrwx )
r : 읽기 권한(read), w : 쓰기 권한(write), x : 실행 권한(excute)
3자리씩 끊어서 그룹지어짐
첫번째 rwx : 소유자의 권한
두번째 rwx : 그룹의 권한
세번째 rwx : 기타 사용자의 권한
- chmod
파일,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
2진법 비트 계산식을 사용하여 권한부여 가능
rwx 421 방식으로, r : 4, w : 2, x : 1
u : 소유자, g : 그룹, o : 기타 사용자
$ chmod u+w 파일명
소유자에게 쓰기 권한을 줌
$ chmod u-w 파일명
소유자에게 쓰기권한을 제한함
$ chmod g+w 파일명
그룹에게 쓰기권한을 줌
$ chmod o+w 파일명
기타 사용자에게 쓰기권한을 줌
$ chmod rwxrw-r--
소유자는 모든권한, 그룹은 실행을 제외한 권한, 기타 사용자는 읽기만 가능
$ chmod 743 파일명
7 : 4+2+1 (rwx), 4 : r--, 3 : 2+1 (-wx) 결과는 rwxr---wx 를 주게됨
- chown
파일의 소유권을 변경하는 기능
$ chown user 파일명
파일을 user라는 대상의 소유권으로 변경
$ chown :group 파일명
파일을 group이라는 그룹으로 소유권 변경
$ chown user:group 파일명
파일을 user라는 사용자, group라는 그룹으로 소유권 변경
● cat 명령어
cat 명령어는 옵션에 따라서 파일내용출력, 파일생성, 파일평합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 파일내용출력
$ cat file1
file1 의 내용을 출력
$ cat file1 file2
file1 file2 의 내용을 연달아서 출력
$ cat -n file1 file2
file1 file2 의 내용 앞에 행번호를 붙여서 연달아 출력
- 파일생성
$ cat > file1
명령어 입력 후, 텍스트 입력한뒤 Ctrl + d 를 하여 입력한 텍스트 내용의 파일 생성
$ cat >> file1
위의 명령은 같은 파일을 덮어쓰기하나, >> 는 내용 하단에 추가하여 저장됨
- 파일병합
$ cat file1 file2 > file3
file1 file2 의 내용을 병합하여 file3을 새로 생성
● 문자열 출력
- echo
입력한 문자열을 출력
환경변수 출력할때 쓰기 좋음
$ echo print text
print text 문자를 출력
$ echo $PATH
환경변수를 출력
● 계정 전환 관련
- su
switch user 의 줄임말.
현재 계정을 로그아웃 하지 않고 다른계정으로 전환
$ su
root 계정으로 로그인
$ su -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하면서 환경변수까지 적용
$ su user1
user1 계정으로 로그인
- whoami
현재 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인
$ whoami
현재 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인
- logout
현재 계정을 로그아웃하고 이전계정으로 돌아간다
$ logout
현재 계정을 로그아웃하고 이전계정으로 돌아간다
출처:
https://developer-woong.tistory.com/32[웅이 IT저장소]
https://noobnim.tistory.com/5 [공부하는 블로그:티스토리]
'Tech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PackageManager (1) | 2024.07.20 |
---|---|
자바 웹 서버 구성(Apache,Tomcat, Catalina,Jasper) (0) | 2024.05.13 |
세션(Session) 이란 무엇인가? (0) | 2024.04.15 |
(서버) WEB / WAS 의 개념 (0) | 2024.04.04 |
(OS) 메모리 구조 (Stack과Heap) (0) | 2024.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