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언어
- BinaryTree
- 리스트
- bubblesort
- Queue
- ec2
- Stack
- spring
- data structure
- java
- 큐
- Recursion
- Tomcat
- 트리
- 자료구조
- datastructure
- ADT
- heap
- graph
- algorithm
- web
- 웹서버
- 알고리즘
- 그래프
- MariaDB
- BinarySearchTree
- C
- 버블정렬
- aws
- 이진탐색트리
- Today
- Total
목록C언어 (2)
Min'sLog

●선행 처리기란? 일반적으로 컴파일의 과정에 포함이 되어 이야기 되나, 선행처리의 과정과 컴파일의 과정은 구분이 가능하다. 아래 C언어의 실행 순서이다. ※ C언어 실행 순서 소스파일 - > 선행처리기 -> 컴파일러 -> 오브젝트 파일(바이너리) -> 링커 -> 실행파일 선행처리는 컴파일러의 컴파일보다 먼저 시행되는 처리를 말하며, 해당 명령문은 #으로 시작된다. 매크로 문장이 끝나도, C언어의 행종료 구문인 ; (세미 콜론) 을 찍지 않는다. (※ 선행처리기의 주역할은 단순 치환이다.) ※ (참고)링커의 역할 : -> OS CPU (CPU와 OS 간 작성된 코드를 실행할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는 역할임) ● 선행처리 예시 ex) #define -> 값을 정의(단순 치환) #define PI 3.14 (지시..

- 일반 포인터 C언어에는 메모리 주소를 직접적으로 접근할수 있는 변수인 포인터(Pointer) 가 존재한다. 사용 방법은 포인터가 가리키는 data type * 변수명 으로 선언하고, 값을 지정해줄때, &연산자로 주소값+dataType을 받아온다. 예시) int *ptr = &var2; // ptr 포인터 변수에 var2의 주소값+데이터 타입 저장. C언어의 포인터 연산은 함수를 호출할때 Call By Reference(함수를 호출할때, 변수 값을 직접 지정) 방법을 제공하기도 하고, 메모리를 직접 allocate/free 해줄때에도 역할을 한다(Heap 메모리 사용). - 함수포인터 (Function Pointer) 이러한 다양한 포인터의 쓰임새 중, 함수 포인터가 있다. 일반 포인터는 주소값+포인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