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datastructure
- 버블정렬
- BinaryTree
- 리스트
- 자료구조
- 웹서버
- C언어
- graph
- Queue
- 이진탐색트리
- ec2
- 큐
- aws
- data structure
- bubblesort
- 트리
- 그래프
- web
- C
- MariaDB
- Recursion
- ADT
- spring
- heap
- Stack
- Tomcat
- BinarySearchTree
- algorithm
- java
- 알고리즘
Archives
- Today
- Total
Min'sLog
(AWS) EC2 세부 정보 및 접속하기 본문
● EC2 세부정보 확인
지난 시간에 생성한 EC2의 세부정보 목록에서 눈여겨 볼 것은 Public IPv4 주소와 인스턴스의 상태이다.
- Public IPv4주소는 현재 생성한 컴퓨터의 IP 주소값을 의미한다.
- 인스턴스 상태는 해당 컴퓨터가 현재 동작이 실행중인지를 의미한다.
인스턴스의 상태는 콘솔 로그인 > EC2 > 인스턴스 > 인스턴스 상태 버튼을 클릭하여, 중지(종료),재부팅 , 종료(삭제)
등을 선택 변경 할 수 있다.
인스턴스의 상세정보중 메뉴별로 각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보안 탭 : 인,아웃바운드 규칙
- 네트워킹 : IPv4 주소 및 VIP
- 스토리지 : 해당 인스턴스의 ROM 용량
등등...
● EC2 연결하기
콘솔 > EC2 > 인스턴스 > 작업 버튼을 누르면 해당 내가 선택한 EC2 인스턴스에 연결이 가능하다.
아래 창에서 선택한 EC2 인스턴스를 AWS 웹페이지 내에서 직접 연결이 가능하며,
putty 와 같은 별도 툴을 통한 접근도 가능하다. ( AWS EC2에 PuTTY로 접속하기 (velog.io) - 해당 블로그 참조)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LB 와 SSL/HTTPS (0) | 2024.08.23 |
---|---|
(AWS) Route 53이란? 도메인 구매 및 연결하기 (0) | 2024.08.21 |
(AWS)탄력적 IP란? 탄력적 IP 할당 및 연결 (0) | 2024.08.20 |
(AWS) EC2를 활용한 API 서버 배포하기 (0) | 2024.08.18 |
(AWS) EC2 서비스 (0) | 2024.08.11 |